최근 물가 상승과 내수 침체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를 돕기 위한 정부의 대표적인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이 바로 온누리 상품권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전통시장에서만 쓸 수 있었던 이 온누리 상품권이 서울시 골목형상점가 100곳으로 사용처가 대폭 확대되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서울시는 2025년을 맞아 골목경제를 살리는 한편,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를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골목형상점가’까지 확대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골목형상점가란?
골목형상점가는 일정한 거리 내에 2,000㎡ 이상 면적에 소상공인 점포가 200개 이상 밀집한 구역을 말합니다.
흔히 대형 시장은 아니지만 지역주민이 자주 찾는 생활밀착형 상권으로, 식당·세탁소·미용실·편의점 등 다양한 업종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그동안 온누리상품권을 주로 전통시장 위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골목형상점가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하여 실질적인 소비자 접근성과 사용 편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대 '골목형상점가' 100곳 추가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
서울시 골목형상점가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지역
서울시는 25개 자치구에 고르게 분포된 골목형상점가 100곳을 선정하여, 해당 상점가 내 가맹점에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 강북구 수유시장 골목상권
- 동대문구 경동시장 골목형상점가
- 성동구 왕십리 상점가 인근 지역
- 양천구 신정동 일대 자영업 밀집 지역
- 영등포구 문래동 골목상권
이외에도 서울시가 지정한 100곳 전체 목록은 각 자치구청 또는 서울시 전통시장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제로페이 기반 결제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MZ세대와 중장년층 모두에게 접근성 높은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이렇게 사용하세요
온누리상품권은 지류형, 모바일형, 카드형으로 나뉘는데, 골목형상점가에서는 모바일형 상품권 사용이 기본입니다.
사용 가능한 제로페이 앱:
- 비플제로페이
- 체크페이
- 핀트
- 페이코(Payco)
- 신한pLay, 우리WON뱅킹, KB국민 앱카드 등
제로페이 가맹점 홈페이지
언제나 사장님께 보탬이 되는 소상공인을 위한 플랫폼, 제로페이
www.zeropay.or.kr
온누리상품권은 10% 할인 구매 혜택이 있으며, 개인 기준 월 100만 원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온누리상품권, 이제는 더 가까운 골목에서도 쓸 수 있어요!
전통시장 외에는 온누리상품권을 쓸 수 없어 불편함을 느끼셨던 분들이 많았는데요, 이제는 서울시 골목형상점가 100곳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편리한 소비가 가능해졌습니다.
우리 동네 골목상권도 포함됐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