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1일, 최저임금위원회가 2026년도 최저임금을 시급 10,32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올해보다 2.9% 인상된 금액으로, 주 40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 2,156,880원에 해당합니다.
이번 결정은 17년 만에 노사와 공익위원이 표결 없이 전원합의로 확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우리의 실수령액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1. 2026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표로 정리해보자
시급 기준만 보면 피부로 와닿지 않기 때문에, 실제 근로 시간에 따라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09시간 기준 월급 환산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금액 |
---|---|
기본 시급(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
세전 월급 | 2,156,880원 |
4대 보험·세금 공제 후 | 약 1,890,000원 ~ 2,000,000원 |
정확한 실수령액은 4대 보험 공제율과 소득세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스스로 계산해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공제 포함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바로가기
2.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 얼마?
2백만 원 넘게 받는 줄 알았는데, 실제 입금액이 생각보다 적다고 느끼셨다면? 바로 4대 보험 및 세금 공제 때문입니다.
보통 월급에서 공제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3.495%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0.9%
- 소득세 및 주민세
예를 들어, 월 2,156,880원에서 약 12%가 공제된다면 실수령액은 약 1,895,000원 전후로 줄어듭니다.
👉 더 자세한 2026년 최저임금 결정 배경이 궁금하다면?
공식 정책브리핑에서 확인하기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2.9%↑, 1만 320원…"17년만에 합의"
내년부터 적용되는최저임금 시간급은 올해보다290원(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됐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2차 전원회의를 개최, 2026년도 - 정책브리핑 | 뉴스 |
www.korea.kr
3. 주휴수당 포함 시 월급은 더 올라간다?
알바나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규정된 날짜에 성실히 일한 경우, 법적으로 주 1일분의 유급 휴일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포함하면 계산은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 10,320원 × (주 48시간 × 4.345주) ≒ 2,587,320원
하지만 주휴수당은 적용 대상, 계약 형태, 실제 근무 형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계약서나 사업주 설명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마무리 요약
- 기본 월급(세전): 2,156,880원
- 4대보험 포함 실수령액: 약 1.89~2.0백만 원
- 주휴수당 포함 시 최대 월급: 약 2.58백만 원
이번 26년 최저임금은 높지는 않지만, 17년 만의 합의 도출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노사 간 대화' 가능성을 보여준 결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 여러분의 월급에서 얼마가 공제되는지 직접 계산해보고, 혹시 빠뜨린 항목은 없는지도 체크해보세요. 예상보다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포함 여부로 헷갈린다면? 고용노동부 주휴수당 기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