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 계산표|7월 11일 결정 반영

by 춘배그램 2025. 7. 12.

2025년 7월 11일, 최저임금위원회가 2026년도 최저임금을 시급 10,32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올해보다 2.9% 인상된 금액으로, 주 40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 2,156,880원에 해당합니다.
이번 결정은 17년 만에 노사와 공익위원이 표결 없이 전원합의로 확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우리의 실수령액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 계산표|7월 11일 결정 반영

1. 2026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표로 정리해보자

시급 기준만 보면 피부로 와닿지 않기 때문에, 실제 근로 시간에 따라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09시간 기준 월급 환산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금액
기본 시급(10,320원) × 209시간 2,156,880원
세전 월급 2,156,880원
4대 보험·세금 공제 후 약 1,890,000원 ~ 2,000,000원

정확한 실수령액은 4대 보험 공제율소득세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스스로 계산해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공제 포함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바로가기

2.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 얼마?

2백만 원 넘게 받는 줄 알았는데, 실제 입금액이 생각보다 적다고 느끼셨다면? 바로 4대 보험 및 세금 공제 때문입니다.

 

 



보통 월급에서 공제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3.495%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0.9%
  • 소득세 및 주민세

예를 들어, 월 2,156,880원에서 약 12%가 공제된다면 실수령액은 약 1,895,000원 전후로 줄어듭니다.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 계산표|7월 11일 결정 반영

 

👉 더 자세한 2026년 최저임금 결정 배경이 궁금하다면?
공식 정책브리핑에서 확인하기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2.9%↑, 1만 320원…"17년만에 합의"

내년부터 적용되는최저임금 시간급은 올해보다290원(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됐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2차 전원회의를 개최, 2026년도 - 정책브리핑 | 뉴스 |

www.korea.kr

3. 주휴수당 포함 시 월급은 더 올라간다?

알바나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규정된 날짜에 성실히 일한 경우, 법적으로 주 1일분의 유급 휴일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포함하면 계산은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 10,320원 × (주 48시간 × 4.345주) ≒ 2,587,320원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 계산표|7월 11일 결정 반영

 

하지만 주휴수당은 적용 대상, 계약 형태, 실제 근무 형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계약서나 사업주 설명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마무리 요약

  • 기본 월급(세전): 2,156,880원
  • 4대보험 포함 실수령액: 약 1.89~2.0백만 원
  • 주휴수당 포함 시 최대 월급: 약 2.58백만 원

이번 26년 최저임금은 높지는 않지만, 17년 만의 합의 도출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노사 간 대화' 가능성을 보여준 결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 여러분의 월급에서 얼마가 공제되는지 직접 계산해보고, 혹시 빠뜨린 항목은 없는지도 체크해보세요. 예상보다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포함 여부로 헷갈린다면? 고용노동부 주휴수당 기준 바로가기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 계산표|7월 11일 결정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