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육아 중인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보육 정책 변화가 시행됩니다.
바로 0~2세 보육료 단가가 평균 5% 인상되면서, 이에 따라 부모급여 지급 방식과 실지급액도 조정되었습니다.
‘부모급여’는 정부가 현금으로 지급하는 육아 지원금인데요.
어린이집을 이용하느냐, 가정에서 양육하느냐에 따라 받는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변경된 보육료 단가, 부모급여 신청 방법, 실수령액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및 대상자
부모급여는 0~1세 아동을 둔 가정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출생신고만 완료되면 즉시 신청이 가능하며, 기존에 아동수당을 받고 있다면 자동 전환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신청 대상: 0~1세 아동을 둔 부모 (출생신고 완료 기준)
- 신청 방법: 온라인(정부24,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
- 신청 시기: 출생 직후부터 가능 (지급은 월 단위)
👉 정부24 부모급여 신청 바로가기 https://www.gov.kr/portal/rcvfvrSvc/dtlEx/135200000143
서비스 상세 | 보조금24 | 정부24
보조금24 맞춤안내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의 자격정보, 서비스 수급 정보의 실시간 확인을 위한 정보연계 동의가 필요합니다. 1.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회원의 주민등록번호로 행정기관
www.gov.kr
어린이집 vs 가정양육, 부모급여 실수령액 비교
보육료 인상과 함께 부모급여 실지급액도 달라졌습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보육료가 국가에서 지원되고, 나머지만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연령 | 부모급여 총액 | 어린이집 이용 시 | 가정양육 시 |
---|---|---|---|
0세 | 1,000,000원 | 현금 100,000원 (보육료 전액 정부지원) |
전액 현금 1,000,000원 |
1세 | 500,000원 | 현금 100,000원 (보육료 전액 정부지원) |
전액 현금 500,000원 |
2세 | 해당 없음 | 보육료만 지원 | 보육료만 지원 |
📌 정리하면?
어린이집을 보내면 보육료는 지원되지만 현금 수령액은 줄고,
가정양육 시에는 부모급여 전액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복지로 부모급여 안내 바로가기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57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57
www.bokjiro.go.kr
7월부터 보육료 얼마나 올랐나?
2025년 7월부터 0~2세 보육료 단가가 평균 5%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어린이집 이용 시 정부가 지급하는 보육료 지원금이 늘어난다는 뜻입니다.
연령 | 기존 단가 | 인상 후 단가 | 인상폭 |
---|---|---|---|
0세 | 1,016,000원 | 1,066,000원 | +50,000원 |
1세 | 899,000원 | 944,000원 | +45,000원 |
2세 | 739,000원 | 776,000원 | +37,000원 |
👉 보건복지부 보육정책 공지 확인하기 https://www.mohw.go.kr/react/index.jsp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마무리 요약
- 2025년 7월부터 0~2세 보육료 약 5% 인상
- 0세: 어린이집 이용 시 10만 원, 가정양육 시 100만 원
- 1세: 어린이집 이용 시 10만 원, 가정양육 시 50만 원
- 2세: 부모급여 대상 아님, 보육료만 지원
- 신청은 정부24 또는 복지로에서 온라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