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손24 앱 설치 사용법 —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병원→보장기관 전송)

by 춘배그램 2025. 8. 12.

2024년 10월부터 병원급 의료기관·보건소에서 시행된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

2025년 10월 25일부터는 의원·약국까지 확대됩니다.

이제 진료를 받은 병원에서 보장기관으로 바로 전자 전송이 가능해져, 종이서류 발급 없이 편리하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실손24 앱 설치 사용법 —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병원→보장기관 전송)

 

이번 글에서는 실손24 앱 설치부터 청구 완료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참여 병원 찾는 방법과 사용 팁까지 알려드립니다.

 

1. 실손24 앱 설치와 로그인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를 이용하려면 먼저 실손24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Google Play 스토어, 아이폰 사용자는 App Store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실손24 앱 설치 사용법 —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병원→보장기관 전송)

 

앱 설치 후 실행하면, 휴대폰 본인인증을 거쳐 로그인합니다. 본인 명의의 보장제도 계약이 자동으로 조회되며, 청구할 보장기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진료내역 선택과 청구서 작성

로그인 후 화면에서 병원 선택진료일자 및 진료내역 선택을 진행합니다.

이 단계에서 병원이 전산청구 서비스에 참여 중이라면 진료기록이 자동으로 불러와집니다.

 

 

 
  1. 진료 받은 병원 클릭
  2. 진료일자 선택
  3. 진료 항목·금액 확인
  4. 청구서 작성(필요 시 메모 입력)
  5. 청구내용 최종 확인
  6. 보장기관으로 전송

실손24 앱 설치 사용법 —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병원→보장기관 전송)

3. 참여 병원·약국 찾는 방법

전산청구 서비스는 모든 병원이 참여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용 전 참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네이버 지도 또는 카카오맵에서 ‘실손24’ 검색 시 이용 가능 병원·약국 표시
  • 지도에서 해당 병원을 클릭하면 실손24 페이지로 연결
  • 현장에서 ‘실손24 참여기관’ 인증스티커 확인
실손24 앱 설치 사용법 —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병원→보장기관 전송)
팁: 의원·약국 확대 시행 전이라도 참여 기관은 꾸준히 늘고 있으니, 진료 전 검색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4. 사용 시 유의사항

  • 병원에서 전산 전송 후에도 보장기관의 심사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 앱 이용 시 데이터/Wi-Fi 환경이 원활해야 합니다.
  • 약국 청구는 2025년 10월 25일부터 정식 시행됩니다.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는 이용자와 의료기관 모두의 편의를 높이는 변화입니다. 특히 실손24 앱을 활용하면, 서류 발급·팩스 전송 없이 병원→보장기관으로 바로 청구가 가능하니 꼭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실손24 앱 설치 사용법 — 실손형 보장제도 청구 전산화(병원→보장기관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