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6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주휴수당 지급조건

춘배그램 2025. 8. 7. 20:30

2026년 최저임금이 확정되면서 아르바이트나 단기 근무를 계획하고 있는 분들이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질문이 생깁니다.

“주휴수당 포함하면 실제 시급이 얼마일까?”, “월급으로 계산하면 얼마 받을 수 있지?”

많은 분들이 시급만 보고 계약하거나 근무를 시작하지만, 주휴수당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정당한 임금을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은 2026년 기준 최저시급과 함께 주휴수당이 포함된 실제 시급 계산법을 정리해드립니다.

계산기 없이도 손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고 나면, 앞으로 근로계약서 작성이나 알바 선택 시 훨씬 유리해질 수 있어요.

2026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기본 개념 정리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 시급은 기본 근무 시간만을 기준으로 한 금액이며, 주휴수당은 별도로 계산됩니다.

 

 

* 주휴수당이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주 1일분의 수당을 말합니다.

  • 1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것
  • 소정 근로일을 개근할 것

예: 하루 4시간씩 주 5일 = 20시간 → 주휴수당 발생
하루 2시간씩 주 3일 = 6시간 → 주휴수당 없음

👉 알바몬 시급 계산기 바로가기

 

주휴수당 포함 시 시급은 얼마나 될까?

2026년 최저시급이 10,320원이지만, 주휴수당이 포함되면 실질 시급은 더 높아집니다. 직접 계산해보면 아주 간단합니다.

 

 

* 계산 방법

  • 1주 총 근무시간 + 주휴수당 시간 = 주 40시간 + 8시간 = 48시간
  • 주급 기준: 10,320원 × 48시간 = 495,360원
  • 실질 시급 = 495,360 ÷ 40시간 = 약 12,384원

* 월급 기준 계산법 (209시간 기준)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209시간은 주 40시간 + 주휴 8시간 포함 월 환산 기준입니다.

2026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주휴수당 지급조건

 

 

내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법

많은 분들이 실제로 내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헷갈려합니다.

알바 사장님이 “너는 해당 안 돼~”라고 하면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많지만, 스스로 확인하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2026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주휴수당 지급조건

 

* 주휴수당 지급 조건 확인표

항목 조건 충족 여부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예
정해진 근무일에 개근 ✅ 예
근로계약서 작성 ✅ 권장
무단결근 없음 ✅ 필수

* 계산기 없이 주휴수당 계산하는 팁

  1. 하루 근무시간 × 주 5일 = 주 근무시간
  2. 주 15시간 이상이면 → 하루치 시급 × 근무시간 = 주휴수당
  3. 주휴수당 포함 총액 ÷ 총 근무시간 = 실질 시급

예: 하루 6시간 × 주 5일 = 30시간 → 주휴수당 6시간 × 10,320원 = 61,920원 → 총액 371,520원 → 시급 약 12,384원.

2026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주휴수당 지급조건

 

  • 내가 주휴수당 대상자인지 확인
  • 계산기 없이 계산 원리 파악
  • 정확한 시급을 바탕으로 알바 계약

요즘처럼 최저임금이 매년 오르는 시기엔 근로자가 직접 계산해보고 권리를 챙기는 게 필수입니다.

2026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주휴수당 지급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