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4인가족 649만원
해마다 한 번씩 꼭 확인해야 할 숫자,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선정부터 각종 복지 혜택의 문턱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수치이기 때문이죠.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최근 발표되었고, 4인 가족 기준 ‘649만 4738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단순한 월소득이 아니라, 다양한 복지급여 수급 여부를 결정짓는 기준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이는 고소득자나 저소득자에 의한 왜곡이 적은 중간값이기 때문에 복지제도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정부는 이 중위소득을 기반으로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4대 복지 제도의 수급기준을 설정합니다.
그만큼 이 숫자가 오르면 복지 수급 대상도 확대될 수 있어 매년 꼭 확인해야 할 수치입니다.
👉 복지로 모의계산으로 내 복지 수급 가능 여부 확인하기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za/wmAplyMng/selectWmGdnc.do
www.bokjiro.go.kr
2026년 중위소득 변화로 생기는 복지 혜택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6~7% 인상되었으며, 특히 4인 가족 기준 649만 원 돌파가 눈에 띕니다.
가구원 수 | 2025년 | 2026년 | 증가율 |
---|---|---|---|
1인 | 239만 2013원 | 256만 4238원 | +7.2% |
4인 | 609만 7773원 | 649만 4738원 | +6.5% |
6인 | 806만 4805원 | 855만 5952원 | +6.1% |
변경된 기준에 따라 주요 복지급여 수급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4인 기준 207만 8316원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4인 기준 259만 7895원
-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이하): 4인 기준 311만 7474원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4인 기준 324만 7369원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4인 가족 기준 ‘649만 원’, 내 가정도 해당될까?
“우리 집 월소득이 500~600만 원인데, 혹시 복지급여 받을 수 있나요?”
이 질문, 정말 많이 들어옵니다.
실제로 복지 수급 가능 여부는 단순 월급이 아니라 '소득인정액' 기준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예상보다 해당되는 가구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가 월 소득 270만 원이라면 생계급여는 어려워도 의료급여나 주거급여 대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제도의 기준으로도 활용됩니다:
- 긴급복지지원제도
- 청년 월세 지원
- 기초연금 일부 수급기준
- 양육비 지원 제도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단순한 통계가 아닙니다.
이는 우리 가정의 생활 안정과 복지 기회 확대라는 실제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4인 가족 기준 649만 원이라는 숫자를 기억해 두시고, 꼭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